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식 vs 글로벌 부모 자세 비교"

by 그리운달 2025. 8. 8.
반응형

국제부부 육아 관련 사진 첨부
국제부부 육아 관련 사진

요즘 부모들은 예전과 많이 달라졌어요. 특히 세계가 점점 더 가까워지고,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시대에 ‘아이를 어떻게 키울 것인가’에 대한 고민도 훨씬 깊어졌죠. 특히 다문화 가정이나 국제커플의 경우, ‘한국식 양육 방식’과 ‘글로벌 스타일의 부모 자세’ 사이에서 고민이 많습니다. “전통을 따르는 게 맞을까?”, “아이에게 자유를 주는 게 더 좋을까?” 그래서 오늘은 이 두 가지 스타일을 비교하면서, 그 장단점을 이해하고 우리 가족에게 맞는 방향을 찾을 수 있도록 정체성 공감, 문화 리터러시, 감정 소통력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정리해봤어요.

1. 정체성 공감 – “나는 누구인가요?”에 대한 두 가지 접근

한국식 부모 자세는 전통적으로 ‘한 방향으로 가르치기’에 익숙해요. 아이의 정체성을 ‘한국인답게’ 정해주고, 좋은 학교, 바른 말, 예절 등을 중심으로 기준을 만들어주죠. 이 방식은 안정감과 사회적 일관성을 줄 수 있지만, 다문화 가정의 아이에게는 오히려 혼란을 줄 수도 있어요. 반면 글로벌 부모 자세는 아이의 정체성을 부모가 정하기보다 ‘아이 스스로 탐색하게 도와주는’ 방식이에요. “너는 어떤 문화에서 자라고 싶어?”, “엄마 문화, 아빠 문화 중 어떤 게 더 편해?”처럼 질문하고 기다리는 태도죠. 물론 이 방식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아이가 우왕좌왕할 수도 있지만 그 과정에서 아이는 스스로를 존중하고, 혼합된 배경을 당당하게 받아들일 수 있어요. 결국 가장 좋은 건, 한국식의 뿌리를 주되 글로벌식의 질문을 곁들이는 것. “넌 한국 문화도 알고 있고, 엄마(또는 아빠) 나라 문화도 함께 가진 사람이야. 그게 정말 특별한 거야.” 이렇게 아이가 ‘나는 둘 다다’라는 확신을 가질 수 있게 도와주는 게 핵심입니다.

2. 문화 리터러시 – 다름을 받아들이는 두 가지 방식

한국식 부모는 ‘우리 집 방식’이 중심이에요. 집에서 쓰는 언어, 식사 방식, 인사 예절 등을 중심으로 아이를 훈육하고, 다른 문화는 간접적으로 접하는 정도로 끝나는 경우가 많죠. 이건 아이에게 명확한 기준을 줄 수 있지만, 다문화 환경에서는 융통성이 부족할 수 있어요. 반면 글로벌식 부모는 다양한 문화를 ‘동등하게’ 대하려고 해요. 아이에게 “이건 우리나라에선 이렇게 해, 저긴 저렇게 해”라고 알려주고 그 차이를 배우는 과정 자체를 가치 있게 여깁니다. 예를 들어, 명절에는 한국 음식을 먹되, 다른 문화의 음식도 함께 즐기고 그 의미를 이야기하는 식이죠. 문화 리터러시는 지식이 아니라 ‘태도’예요. 두 가지 문화가 충돌할 때, 하나를 무시하거나 밀어붙이는 게 아니라 “왜 이렇게 다를까?”라는 호기심으로 접근하면 아이도 다양한 문화를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게 돼요. 한국식이 주는 안정감과 글로벌 방식이 주는 다양성 존중, 이 둘의 균형이 문화 리터러시의 진짜 실천입니다.

3. 감정 소통력 – 말보다 중요한 ‘느낌의 언어’

한국식 부모는 감정보다는 행동에 더 집중하는 경우가 많아요. “울지 마”, “그럴 시간에 공부해” 같은 말들이 익숙하죠. 하지만 이런 방식은 아이가 감정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만들 수 있어요. 특히 다문화 아이는 학교나 사회에서 혼란을 겪을 일이 더 많기 때문에 감정 소통이 훨씬 더 중요해요. 반면 글로벌식 부모는 감정을 표현하고 공유하는 걸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해요. “오늘 기분 어땠어?”, “그 일 들었을 때 어떤 생각이 들었어?” 이런 질문을 자주 하고, 아이가 감정을 말할 수 있도록 공간을 열어줘요. 그 결과,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기보다 이해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가지게 됩니다. 감정 소통은 말만 잘한다고 되는 게 아니에요. 부모가 아이의 표정을 읽고, 조용히 안아주고, 천천히 반응하는 것도 감정 소통이에요. 한국식의 절제와 글로벌식의 개방, 그 중간 지점을 찾는다면 아이는 훨씬 더 안정감 있게 성장할 수 있어요.

한국식 양육과 글로벌식 양육, 어느 쪽이 더 옳다고 말할 수는 없어요. 각 방식에는 장점과 단점이 있고, 중요한 건 우리 아이에게 맞는 길을 찾는 거예요. 전통의 깊이를 살리면서도, 열린 마음으로 세상을 보는 능력을 함께 키워주기. 그게 바로 지금 시대의 부모가 해야 할 일입니다. 정체성에 공감하고, 문화를 읽고, 감정을 나눌 수 있다면 아이도 자신만의 방식으로 더 넓은 세상과 소통할 수 있을 거예요. 지금 우리 가정의 문화 스타일, 한 번 천천히 돌아보며 ‘우리 가족만의 균형’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