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MZ부모를 위한 다문화 가정 가이드"

by 그리운달 2025. 8. 7.
반응형

국제커플 육아 관련 사진 첨부
국제커플 육아 관련 사진

요즘 부모들은 이전 세대와는 확실히 다릅니다. 특히 MZ세대라고 불리는 20~40대 부모들은 ‘아이를 내 방식대로 키우는 것’이 아닌, ‘아이와 함께 자라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죠. 그런데 여기에 다문화 가정이라는 환경까지 더해지면, 육아는 더 복잡해지기도 합니다. 엄마와 아빠가 다른 언어, 다른 문화,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고, 아이는 이 두 세계 속에서 자라야 하니까요. 이럴 때 필요한 건 특별한 교육법이나 정답이 아닙니다. 부모가 얼마나 따뜻하게 마음을 읽어주고, 문화를 자연스럽게 연결해주며, 감정을 잘 다룰 수 있느냐가 핵심이에요. 이 글에서는 다문화 가정에서 MZ부모가 꼭 기억해야 할 세 가지 키워드, ‘공감’, ‘리터러시’, ‘감성지능’에 대해 쉽고 편하게 풀어보겠습니다.

공감 – 아이 마음을 먼저 이해하는 태도

공감은 ‘알아듣는 것’이 아니라 ‘느껴주는 것’이에요. 특히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은 또래보다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더 많을 수 있어요. “왜 나는 엄마랑 말이 다르지?”, “나는 한국 사람 맞아?”, “친구들이 내 도시락 냄새 난다고 놀렸어” 이런 질문들이 나올 때, 부모가 어떻게 반응하느냐가 중요해요. 공감이 부족한 반응은 “그건 아무것도 아니야”, “신경 쓰지 마”처럼 아이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덮어버리는 말들이죠. 반면 공감하는 부모는 “그 말 들으니까 속상했겠네”, “그럴 수 있어. 나도 그런 기분 느낀 적 있어”라고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줍니다. 이때 아이는 ‘내 마음을 말해도 되는구나’, ‘엄마 아빠는 내 편이구나’를 느끼게 됩니다. 공감은 위로나 해결책보다 먼저,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힘’이에요. 아이가 내는 신호에 귀를 기울이고, 말보다 표정, 눈빛, 행동을 살피는 게 공감의 시작입니다. 다문화 가정에서는 문화가 다르기 때문에 더더욱, 공감이라는 공통의 정서 언어가 필요합니다.

리터러시 – 문화를 읽고 연결해주는 부모의 역할

‘리터러시’는 단지 책을 잘 읽는 능력이 아니에요.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해석하고, 연결하는 힘도 포함돼요. 다문화 가정의 아이는 보통 두 가지 이상의 문화를 동시에 경험해요. 아침에는 한국어로 학교에 가고, 저녁에는 외국인 엄마나 아빠와 다른 언어로 대화하죠. 어느 한쪽만 강조하면 아이는 혼란을 느낄 수 있어요. 그래서 부모는 중간에서 문화를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문화 통역사’ 역할을 해야 해요. 예를 들어, 설날에는 아빠 쪽 문화로 세배를 하고, 크리스마스에는 엄마 쪽 문화를 따라 파티를 여는 식으로요. 또 아이가 “왜 우리 집은 남들처럼 안 해?”라고 물을 때, “우리는 두 나라 문화를 함께 갖고 있어서 더 멋진 거야”라고 말해주는 것, 그것이 문화 리터러시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부모가 스스로 자신의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배우자의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보여주는 거예요. 그렇게 해야 아이도 양쪽 문화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어느 하나도 숨기지 않고 자랄 수 있어요.

감성지능 –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하고 조절하는 능력

요즘 부모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부분 중 하나가 ‘감정 조절’이에요. 일도 해야 하고, 육아도 해야 하고, 집안일도 해야 하다 보니 짜증이 날 때도 많죠. 그런데 다문화 가정에서는 감정 표현도 문화마다 다르기 때문에 오해가 생기기 쉬워요. 어떤 문화에서는 감정을 겉으로 드러내는 게 자연스럽고, 어떤 문화에서는 속으로 삼키는 게 예의로 여겨지거든요. 아이가 그런 차이를 보면서 “왜 엄마는 화를 내고, 아빠는 말이 없지?” 하고 헷갈릴 수 있어요. 이때 부모가 감정을 숨기거나 억누르는 게 아니라, 아이와 함께 감정을 이야기하는 게 중요해요. “엄마가 오늘 좀 지쳐서 말이 짧았어. 너한테 화난 건 아니야”라고 설명하면, 아이는 오해하지 않고 감정을 이해하게 됩니다. 또 아이가 화를 내거나 울 때, “그럴 수도 있지”라며 감정을 받아주는 태도는 아이의 감성지능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돼요. 감성지능은 단지 참는 능력이 아니라, 감정을 정확히 알고 건강하게 표현하고, 조절하는 힘입니다. 부모가 먼저 모범을 보이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따라 하게 돼요.

MZ세대 부모는 이전 세대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감정에 민감하며, 소통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그만큼 다문화 가정에서는 더 강력한 부모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어요. 공감으로 아이의 마음을 읽고, 문화 리터러시로 다양한 문화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며, 감성지능으로 가족 전체의 정서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면, 그 가정은 단지 ‘다문화’가 아닌 ‘글로벌 가정’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아이는 부모의 실수보다 진심을 더 잘 느끼니까요. 매일 조금씩 배우고 실천하는 부모, 그게 바로 MZ부모가 가야 할 길입니다.

반응형